|
|
교회음악의 이해와 감상 |
이 우 현 (Music Commentator)
|
|
신앙생활의 3대 요소는 말씀생활, 기도생활, 찬송생활인데, 여기서는 찬송생활과 관계된 것을 별도로 생각해 보려 한다. 찬송생활의 목적은 무엇일까? 우리는 찬송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돌리며(사43:21) 이로 인해 우리 신앙의 증진을 가져온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우리 자신이 직접 영감있는 찬송을 부름으로써 하나님께 영광돌리며(대하20:21) 성가대 혹은 크리스챤 음악인들의 영감 있게 부른 찬송을 들음으로(왕하3:15) 우리 심령 속에 하늘의 기쁨과 평안과 능력이 넘쳐남과 동시에 마음으로 화답하여 입술 혹은 심령으로 주님께 영광 돌리는 것이다. 이때 우리는 찬송을 듣고만 있는 청중이 아니라 함께 화답하는 회중이 되는 것이다.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의 찬송을 부르게 하려 함이니라" (사3:21)
"백성으로 더불어 의논하고 노래하는 자를 택하여 거룩한 예복을 입히고 군대 앞에서 행하며 여호와를 찬송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 감사하세 그 자비하심이 영원하도다 하게 하였더니" (대하20:21)
"이제 내게로 거문고 탈 자를 불러 오소서 하니라. 거문고 타는 자가 거문고를 탈 때에 여호와께서 엘리사를 감동하시니" (왕하3:15)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 방법은 무엇일까? 첫째) 매일 찬송을 영감있게 부르고, 또 들어야 한다. 즉 구체적으로 한 번 부르면 3번 이상은 들어야 한다. 둘째) 교회음악(찬송)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이해를 가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교회음악에 대한 간략한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1. 교회음악의 시대적 구분
1) 중세시대(그레고리안 성가 -단성음악)
중세시대의 음악은 그레고리 1세에 의해 만들어진 단성음악이다. 그 특색은 Unisong으로 부르는 Melody의 아름다움은 순결한 천사들이 부르는 천국음악 그 자체이다. 무엇보다도 리듬에 구애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박자의 벽을 넘나드는 그 묘미는 비할데 없는 일품이라고 할 수 있다.
2) 르네쌍스 시대(르네쌍스 음악 - 다성음악)
이 때의 음악은 복잡한 다성음악으로 Palestrina에 의하여 절정을 이루었다. 그 특색은 그레고리안 성가와는 대조적으로 아주 복잡한 구조를 가진 음악으로 각 Part가 모방, 카논, 후가, 주제 변주 등 다양한 음악 기법으로 멜로디를 전개해 나감으로 처음 듣기에는 좀 혼란스럽게 느껴지지만 자세히 계속 들어보면 오묘한 하모니와 통일된 구조적인 묘미를 발견할 수 있다.
3) 바로크 시대 이후
Heinrich Schutz (하인리 쉿츠)
Schutz(쉿츠)는 독일 개신교 음악의 아버지이다. 젊은 시절 이태리에 유학하여 Gabrielli에게 배웠다. 귀국 후 1617년부터 독일 Dresten 궁정 악장으로 활약하면서 독일의 교회음악을 확립하는데 큰 공헌을 세웠다. 그의 특색은 이태리 등의 다합창 수법, Concertant 양식, Monody 양식 등의 작곡 기법을 종횡으로 구사하여 음악과 가사 표현의 완벽한 일치를 이룩하여 강인하고 신앙적인 독일 Protestant 교회음악을 확립했다. 그의 음악은 강한 무엇이 짓누르듯이 다가오지만 일단 듣고난 후에는 표현할 수 없는 기쁨이 흘러넘침을 경험할 수 있다.
Dieterich Buxtehude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Buxtehude(북스테후데)는 1699년부터 약 40년간 독일 북부 Lubeck의 마리아교회 올개니스트 겸 합창 장으로 있으면서 전임자 Tunder가 1646년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에 개최했던 Abenmusik(저녁 음악모임)을 매주일 오후 기도모임 후에 계속 유지할 뿐만아니라 매년 크리스마스 전 5번째 주일 오후에는 특별 교회음악 모임을 개최했는데, 그 모임이 너무 유명해져서 Bach와 Handel도 젊은 시절 40km 길을 멀다하지 않고 그곳에 도보로 참석한 후 큰 감명을 받았고, 그 후 그들의 교회음악 창작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그 음악의 특징은 (특히 올갠곡) 영웅적이라 할 만큼 화려하고, 장대한 표현과 낙천적이고 명쾌하다. 그리고 내면적 정서의 깊이가 있다. 거장적인 기교와 극치에 다달으나 그것이 단지 기교에만 머물지 않고 강한 설득력이 되어 흘러나오는데 특색이 있다. Bach의 올갠곡까지도 그의 특징이 강하게 각인되어 있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위의 두 거장이야 말로 독일 교회음악에 Bach와 함께 3대 공헌자들이다.
Bach (바하)와 Handel(헨델)
Bach(바하)는 성악은 Schutz(쉿츠)에게서, 기악은 Buxtechude(북스테후데)에게서 절대적 영향을 받았으며 Bach가 독일 Protestant 교회음악을 완성하는데 위의 두 사람이 토양 역할을 했다. Handel도 위의 두 사람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는 젊은 시절에 이태리에 유학하여 직접 이태리 음악을 배워서 영국에 정착한 후 Bach와는 대조적이고 독자적인 형태의 교회음악을 완성했다. 그러므로 Bach와 Handel이 뿌리는 같으나 그 열매는 전혀 다른 모양으로 나타났다. 즉 Bach의 음악은 어디까지나 교회적이며, 세밀하고, 정교하고, 섬세한 것이 특징이다. Handel의 음악은 이태리 음악의 영향을 받아서 어디까지나 극장적이고(그는 이태리풍의 오페라를 많이 작곡함), 장대하며, 웅장하고, 역동적인 힘이 서려있다. 두 사람의 차이를 지장과 용장의 차이라 (지략이 뛰어난 장수와 용감한 장수의 차이라) 할 수 있겠다.
독일 Choral
종교개혁과 함께 독일 Choral(독일 찬송가)이 Luther(루터)로부터 작곡되었는데, 처음에는 그레고리안 성가나, 세속 곡에서 빌려온 것이 많았다. 특징은 2 소절마다 휠마타가 있고, 장중하고 엄숙한 언어가 나온다. 그러나 타성부(특히 Bass)가 너무 어려워 일반 회중이 부르는데 무리가 생김으로 1700년대 이후로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Bach는 그의 Cantata 마지막 부분에 독일 Choral을 삽입하여 성가대와 회중과의 일체감을 보여주기도 했다.
영. 미국 Hymn
1700년대부터 작곡되기 시작한 영국의 Hymn(찬송가)는 1800년대를 넘으면서 미국으로 이동하여 찬송가의 황금기를 맞았으며 190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영. 미국의 찬송가는 멜로디가 중심이지만 4부가 고르게 짜여있어 회중 누구나 부르기 쉽게 되어 있다. 가사에 대한 철저한 성경적인 고증이 겸해있어, 영원히 교회음악의 중심에 자리매김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교회음악의 역사를 돌아보면서 성가부분(Sacread Music)에서는 Bach, Handel이 그 완성의 위업을 달성했지만, 찬송가(Humn)에서는 영. 미국의 찬송가 작곡자들과 작사자들이 주도적 역할을 감당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위 두 사람, Bach나 Handel이 Protestant 교회음악에 끼친 공로는 절대적이다(여기에 Mendelssohn도 포함됨).
2. 교회음악을 완성시킨 인물들
개신교의 음악(교회음악)은 종교개혁 이후 300여년간(1517-1850) 기초를 쌓으며 완성되었는데, 그것은 성경이 초대교회 이후 300여년간 쓰여지며 마침내 정경으로 확정된 것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교회음악을 완성하는 데는 두 큰 기둥(중간에 작은 기둥 포함)이 있었다.
Johann Sebastian Bach (요한 세바스찬 바하)
Bach(바하)는 1685년 독일 "아이제나흐"에서 태어났으며, 1723년 이후 독일 라이프치히에 있는 성 토마스교회의 악장으로 일했다. 그의 음악은 내면적이지만 깊이가 있으며, 우주적이고 세월을 초월해 존재한다. 처음 들을 때는 힘있게 다가오지 않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영적 감동이 증폭됨을 느낀다. 일평생 동안 100마일 밖을 벗어나지 못한 정통교회의 음악가였으며, 그의 음악 모토는 "오직 하나님께 영광" 이었다. 그의 중요 작품으로는 "마태의 수난곡," "요한 수난곡,"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B단조 미사곡," "모테드," 와 200곡이 넘는 교회 칸타타 등이 있다.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Das Wohlterperie te Clavier,
48개의 전주곡과 푸가(48 Preludes and Fugues)
Bach(바하)는 24곡씩 전주곡이 달린 퓨가를 제 1, 제 2권에 나누어 48곡집으로 냈다. "평균율"이란 한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으로 나눈 조율법을 말하는데 이것이 지금 서양음악을 지배한다. Bach 시대에 이것이 이론적으로 알려졌지만 실용적이지는 못했다. Bach는 이 새로운 조율법의 특성을 12개의 음을 주음으로 하는 장조와 단조, 말하자면 24개의 조성을 사용하였다. 이것이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며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곡집은 그 아들과 제자를 위해 교육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1권은 1722년, 2권은 1744년에 완성하였다. 곡의 배치는 제 1번이 C장조, 제 2번이 C단조로 하였고, 장조와 단조가 교대로 반음씩 높아지도록 마련하였으며, 48곡 중에서도 4, 8, 16, 22, 24, 19, 33, 41번이 걸작이다. 전주곡으로 아름다운 곡은 제1, 제21, 제38번 이다.
Georg Friedrich Handel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Handel(헨델)은 1685년 Bach와 같은 해 독일 남부 할레에서 태어났으며, 그는 젊은 시절부터 오페라 극장 음악가로 명성을 얻었고, 이태리를 비롯해 전 유럽을 여러 번 여행하였다. 그의 음악은 극적이며, 화려하고, 장대하며, 개방적이고, 힘이 있다. 그의 음악은 음이 흘러나올 때 듣는 순간 엄청난 감동에 휩싸이게 되는데 그는 특히 한국교회에서 제일 사랑받는 음악가이기도 하다. 말년에 영국으로 귀화해 오직 성가 작곡에만 전념했고, 중요 작품으로는 "오라토리오 21곡"(메시야, 요셉과 그 형제들, 애굽의 이스라엘인, 여호수아, 입다, 드보라, 삼손, 사울, 솔로몬, 에스더, 아달랴, 벨사살, 데오도라, 수산나, 쥬다스, 마카베우스 등), "교회 칸타타," "Anthem" 등이 있다. .
Felix Mendelssohn (펠릭스 멘델스존)
Mendelssohn(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의 북부 함부르크에서 출생했으며 작곡과 특히 지휘자로서 Bach 음악을 부활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1829년 Bach의 마태수난곡을 100년 만에 부활시켜 상연했음). Handel의 음악도 의욕적으로 연주하였고, 활발한 신교의 교회음악 연주로 인해 구교의 반대와 맞서 싸웠으며, Bach와 Handel의 전통을 이어 교회음악의 지위를 확고히 하였다. 그는 영국과 스코틀랜드를 자주 왕래하면서 독일에서 시작된 교회음악을 전 유럽으로 확산시켜 현대와 연결시키는 중추적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의 중요 작품으로는 "오라토리오 2곡"(엘리야, 사도바울), "교향곡 제2번"(영광의 찬송), 그외 찬송가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위 세 사람을 통해 성가(Sacred Music)가 완성됨과 동시에 16세기 루터의 독일 Choral을 시작으로, 프랑스를 거쳐, 영국과 미국의 Watt나 Mason 등으로 대표되는 , 찬송가 작사, 작곡자 등을 통해 수많은 찬송가가 나옴으로 교회음악은 마침내 완전한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그 이후에 만들어진 찬송가와 성가는 교회음악을 약간 보완한 것 뿐이다. 오늘의 복음성가를 좀 심하게 말한다면 교회의 유행음악이라 하겠다. 300여년 동안 하나님의 섭리와 감동으로 만들어진 교회음악(찬송가 + 성가)만으로 충분하다. 이 교회음악에 대한 지식과 이해와 활용을 통하여 우리의 신앙생활을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한다.
3. 교회음악의 현대화
미국 교회를 중심으로 오늘날 교회음악의 현황을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있다. 분류에는 대상적 분류(하나님, 사람)와 형태적 분류(Melody, 선율 Harmony, 화성 (Rhythm, 박자)로 나눌 수 있으나 여기서는 두 가지를 종합하여 분류해 보도록 한다.
1) Traditional Church Music (전통 교회음악)
A. Liturgical Music - 예배음악 (찬송가: Hymn)
독일 Choral - O Sacred Head
프랑스 Psalter - Forive, Our sin
영국 Anthem - Thou Knowest, Lord
영국, 미국 Hymn - Liturgical Hymn -거룩 거룩, Gospel Hymn - 내 주를 가까이
B. Occasional Music - 절기음악(성가 - Sacred Music)
Anthem(Octavo) - 죠지 2세 대관식 찬송 - 사독 제사장(Handel)
Motet -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할지어다 할렐루야(시편150 -Bach)
Cantata(Musical) -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요3:16, Stainer)
Oratorio(Passion) - a)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마26:23-29 - 마태의 수난곡(Bach)
b)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행9:3-6)
2) Country Gospel Music (미국 복음성가) - Hallelujah Square(할렐루야 광장)
3)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현대 교회음악)
Middle of the Road - 주 예수 이름 높이어
Praise & Worship Song (Christian Sing-along, Sing Hallelujah)
Christian Jazz - 내 주를 가까이
Christian Rock - 내 주 되신 주를 참 사랑하고
Christian New Wave - 만유의 주재
4. 현대 교회음악의 여러 Style 설명
1) Traditional Church Music
전통적 교회음악(Traditional Church Music)에 관하여는 위에서 언급한 교회음악의 역사에서 독일 Choral과 영. 미국의 Hymn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2) Country Gospel Music
18세기 후반부터 미국 동남부 Appalachian 산록 지방에서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Ballad에서 유래된 순수한 미국 교회음악의 한 형태로서 약 200여년간 미국인들의 신앙 정서에 큰 영향을 끼친 교회음악의 스타일이다.
특징:
•
주로 Melody와 Harmony를 중요시 한다.
•
순박하고 포근한 부드러움의 음이 풍겨나며 미국 개척민들의 순수한 신앙정서가 묻어있고,
고국에 대한 향수와 천국에 대한 소망이 어우려져 풍기는 음악이다.
•
주로 남성 4중창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 모습이다.
•
악기는 주로 미국의 민속악기인 Dulcimar, Fiddle, Benjo, Guitar, Mandolin 등을 사용한다.
3)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이 음악은 1968년경 유명한 미국 교회음악의 원로인 Ralph Carmichael이 합창 붐을 이루고 있던 Rock Music에 교회 청소년들이 빠져들어가는 것을 우려한 나머지 Pop이나 Rock Music의 특색 몇가지를 교회음악에 접목시켜 개발해 낸 20세기 후반의 새로운 교회음악의 스타일이다. 그러나 4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는 오히려 세속 Pop이나 Rock 음악이 완전히 교회음악을 장악하여 이름만 교회음악이고 가사만 다를 뿐이지, 사실상 누가 들어봐도 세속적 Rock 음악과 구별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
Middle of the Road
Classic Music 에서 말할 때는 Semi Classic 혹은 Pop Music 이라고 부르는 style로서 교회음악에서는 "Middle of the Road"라고 부른다. 거룩하고 경건한 Traditional Style에 비하면 좀 가볍고 품위가 약해 보인다. 물론 타악기가 사용되며, 역박자도 종 종 나타나는 것이 특색이다.
•
Praise & Worship Song(Christian Sing-along)
Middle of the Road와 거의 같은 Style이지만 편곡이 거의 없이 원곡을 그대로 회중과 함께 부르는 것이 특색이다. 여기에는 반드시 Worship Leader가 (지휘자와는 다르게 앞장서서 노래 부름을 북돋우는 역할을 함) 있게 마련이고, 무엇보다도 분위기를 중요시 하기 때문에 분위기를 뜨겁게 몰아가는 경향이 있으며, 감정의 격양을 유발하는 것으로 끝내버릴 위험성이 숙제로 남아있다. 1950년대 말 Mitch Miller의 Sing-along은 지금도 하나의 규범으로 남아있다.
•
Christian Jazz
1900년대부터 흑인 Entertainer 들의 연주, 가창 Style인 Rhythm and Blue에서 생겨난 음악 Style 이다.
특징:
•
흑인 특유의 야성적인 강열함과 오랫 동안의 억눌림에서 반사적으로 솟구쳐 오르는 애환과 격정이 묻어있는 음악이다.
•
역박자 리듬이 주류를 이룬다.
•
멜로디와 리듬에 즉흥성이 많다. 즉 악보에 정확하게 기록하기엔 불가능한 복잡한 멜로디와 리듬을 가진 음악 Style 이다.
•
Christian Rock
1950년대 초 Cleavland, Ohio 방송국 Disc Jackey 인 Alan Freed 가 Rock and Roll 이라 이름하여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1956년 Elvis Presley의 Heartbreak Hotel이 Hit 하면서 미국과 전 세계에 확산되기 시작한 음악 스타일 이다. 처음에는 컨츄리 뮤직, 불루, 불랙 가스펠, 폭크송과 혼합된 형태로 나타났으나 점차 자기 스타일로 자리잡게 되었다.
특징:
•
주로 타악기와 전기 기타를 많이 사용하여 음향효과를 최대한 높인다.
•
리듬을 중요시하며, 8분음표를 바탕으로 4박자 리듬을 계속 반복한다.
•
2번째와 4째 박자를 강하게 한다. 클라식 음악은 1박과 3박자에 강하게 한다.
•
다양한 주제를 내용으로 하며 심지어 마귀를 찬양하고 지옥을 그리워하는 가사들을 담고 있다. 이 같은 음악의 특정
스타일로 말미암아 젊은 이들이 쉽게 감정의 흥분이 일어나 엑스타시를 경험하고싶은 유혹으로 마약을 복용할 위험이
많다.
찬송가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의 음악 연주 비교감상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1 , |
Traditional Style: The Philadelphia Choir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2 , |
Country Gospel Style: Blue Ridge Quartet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3 , |
Middle of the Road Style(Contemporary): Dick Bolk's Male Chorus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4 , |
Sing-along Style(Worship in Paradise style): Tom Fettke Choral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5 , |
Black Gospel Style: Mahalia Jackson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6 , |
Christian Rock Style: Brooklyn Tabernacle Choir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7 , |
Traditional Style(Arranged): The Amen Choir & National Phil. Orch.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8 , |
Country Gospel Style(Appalachian): Brentwood Quintet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9 , |
Middle of the Road Style: Fred Bock Orchestra |
|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10 , |
Traditional Style: 101 String Orchestra |
|
^ RETURN TO TOP ^
|
|